일사병 열사병 차이 뭐가 달라요?
비가 오면 해가 났으면 좋겠고, 해가 이렇게 쨍쨍하면 한번쯤 비가 쫘악 내려줬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날 밖에서 일을 해야만 하는 분들은 도대체 얼마나 힘이 들까요? 계속 되는 불볕더위와 뜨거운 햇살로 인해 일사병 그리고 열사병으로 쓰러지고 생명을 잃는 분들의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아무렇지도 않게 들었던 이 증상의 차이 무엇일까요?
올림픽에서도 선수들이 경기를 포기하기도 하고 시간대가 변경되기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름 가장 더운 시간대에 운동을 하거나 몸을 움직이면 우리의 몸음 높아진 체온을 빨리 낮추기 위해 많은 땀을 흘리게 됩니다. 그리고 땀을 너무 많이 흘리게 되면서 수분을 잃게 됩니다.
여기서 체온을 낮추기 위해 즉 열사병 방지를 위해 땀을 흘리게 되고 이때 잃은 수분 보급을 제대로 해 주지 못하면 일사병 이라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이 차이 뭐가 다른지 알아볼까요?
일사병
일명 열탈진이라고도 합니다. 온도가 높은 환경, 오랜 시간 고온에 노출되어 몸에서 열이 방출되지 못해 체온 즉 심부체온이 37~40도 사이로 올라가 있는 증상을 말합니다.
땀을 많이 흘려서 몸에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이 적어지면서 심장 박동이 빨라지는 것이 대표적인 일사병 증상 입니다. 탈수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열사병
몸의 열이 충분하게 발산되지 않아서 몸에 열이 차서 이 높아진 체온을 몸에서 감당할 수 없게 된 상태를 말합니다. 즉 체온조절중추가 체온을 발산하지 못하게 된 상태입니다.
일사병 상황일 때 제대로 처치를 받지 못하면 열사병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심부온도가 40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두통과 구역질, 시력장애, 어지러움,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서 더 심해지면 발작, 의식을 잃기도 합니다.
일사병 그리고 열사병 차이를 바로 보고 알 수 있는 것이라면 일사병은 땀을 많이 흘리면서 피부가 창백해지는데 열사병은 땀을 거의 흘리지 않으면서 피부가 붉어집니다.
열중증 이라고 하는 온열질환에 속하는 증상에 일사병 열사병이 속하게 됩니다. 열에 의한 발생하는 몸의 장애를 총칭해서 열중증이라고 합니다. 더위로 체온 조절이 안되고 몸 속에 열이 꽉 차게 되는 증상이라고 한마디로 말할 수 있습니다.
강한 직사광선을 쐬는 등의 경우에는 일사병, 꽉 막힌 방이나 차안 등의 고온 장소에서는 열사병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사병 열사병 예방
우선은 부지런하게 수분을 보급해야 합니다. 그리고 뜻대로 되지는 않겠지만 가능한한 너무 햇볕이 강한 시간대는 피하고, 오랜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물도 한번에 많이 마시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자주 마시는 편이 좋습니다. 그리고 땀을 많이 흘렸다 싶을 때는 물보다는 이온음료를 섭취하도록 합니다.
일사병 열사병 처치
몸에 열이 너무 오르거나 해서 위와 같은 증상 의심된다 싶을 때는 먼저 체온을 내려야 합니다. 냉방이 된 것으로 옮겨서 목과 겨드랑이 이마, 오금 부분을 차가운 물에 적신 타월을 대어 줍니다. 그리고 찬 물, 찬 이온음료를 조금씩 하지만 원하는만큼 계속 마십니다.
일사병 열사병 증상 중 하나는 구역질입니다. 구역질이 심하면 억지로 토하려고 하지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응급처치를 했는데도 체온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그리고 의식이 몽롱해진다 싶으면 바로 병원으로 옮겨야합니다.
일사병 열사병 탈수증상 체크
피부가 거칠거칠하고 탄력이 없으며 눈이 들어가면서 맥박이 빨라지며 소변의 양이 적어지고 혀가 마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