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 적금 가입
2021년 근로장려금 지급은 8월26일로 결정되어 있습니다. 월급처럼 또 스쳐 지나갈 것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들지만 올해만큼은 얼마가 들어온다 하더라도 그 중의 반만큼은 지켜 보고자 합니다. 그래서 근로장려금 적금 이라는 것이 있다고 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요즘은 어떤 은행이든 적금이나 예금을 보면 금리라는 게 그냥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을 듯 합니다. 그냥 여유돈이 좀 있어서 내지는 투자와는 성향이 맞지 않아서 은행에 맡겨 두었다가 찾는 것 정도쯤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근로장려금 수급자인 경우 이보다는 좀 더 금리가 좋은 예금상품 그리고 적금 상품들이 있다고 합니다.
근로장려금 적금 가입 조건
근로장려금 수급자 본인이어야 합니다. 이 조건만 있으면 됩니다. 그리고 한 은행에 한 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은행에 조금 더 금리 높은 예금, 적금 가입하고 싶다면 그것은 가능합니다. 즉 하나의 은행에 하나의 계좌, 타은행에 계좌 개설 가능 합니다. 그리고 비과세 한도내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하나의 조건이 더 있다면 근로장려금 받은 당해 그리고 다음해 발표 전까지만 가입할 수 있다는 점 잊으시면 안됩니다. 만약 작년에 근로장려금 수급했는데 올해는 못 받는다면 그 결정 발표 나기 전에 빨리 가입해야만 합니다.
근로장려금 적금
각각의 은행에 따라 가입 시기와 금리와 한도금액이 다릅니다. 1년에서 3년 동안 즉 12개월에서 36개월까지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월납입금액도 1만원에서 30만원, 50만원 등 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금리 또한 3.3%에서 5% 정도까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적금 가입방법
이 적금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은행에 방문해야만 합니다. 인터넷으로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근로장려금 수급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 등을 가지고 직접 은행에 방문해야 합니다.
근로장려금 수급 사실증명서는 홈택스 또는 손택스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손택스에서 민원증명 - 즉시발급증명신청 - 근로장려금 수급사실 증명 순서로 선택해 들어갑니다. 물론 로그인이 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이 근로장려금 수급 받은 증명서를 발급받는 사용용도와 제출처 등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적금 가입이 목적이므로 금융기관제출용으로 사용용도 확인하고, 제출처 또한 금융기관으로 선택합니다. 주소와 주민등록번호는 굳이 공개할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하나의 은행에 하나의 계좌로만 적금 가입할 것이 아니라 2~3은행에 가서 가입하고자 한다면 발급희망수량을 그에 맞춰서 선택한 후 인터넷발급이나 프린터출력 등을 선택한 후 신청하기 선택하면 바로 근로장려금 수급사실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발급받은 근로장려금 수급사실증명서를 인터넷접수목록조회에서 확인해 프린터 출력 후 신분증을 지참하고 적금 가입하고자 하는 은행을 방문하면 됩니다.
8월26일에 2021년 근로장려금 지급 이루어지게 되는데 올해는 수급대상자가 안될 것 같고 금리가 조금이라도 높은 적금 가입하고 싶다면 빨리 서두르셔야 하겠습니다. 저는 2021년 수급사실증명서로 적금 가입할 예정입니다.